계속되는 저물가로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소비자물가가 사실상 두 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기 때문인데요, <br /> <br />이번 달에도 역성장이 유력하다는 전망이 나오는데, 결국 수요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조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곳은 서울 시내에 있는 한 대형 할인점입니다. <br /> <br />입구에서는 값싼 생필품을 만나볼 수 있는데요, <br /> <br />2ℓ짜리 생수 한 통이 3백 원이 조금 넘고, 이 와인은 한 병에 5천 원이 되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일부 상품에 한정되긴 하지만, 예년보다 오히려 물가가 낮아진 품목도 있는 셈입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8월 반올림 이전 -0.04%로 사상 첫 마이너스를 나타내더니, 9월에는 아예 공식적으로 역성장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[조영숙 / 서울 성수동 : 지금 나오는 과일을 보면 (물가가) 조금 싼 거 같아요. 사과나 수입 과일보다 포도도 조금…. 거의 비슷해요.] <br /> <br />문제는 이런 물가 역성장이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생산자물가는 1년 전보다 0.7%나 급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도매가격을 뜻하는 생산자물가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는 점을 고려하면, 이번 달에도 마이너스 물가를 기록할 가능성이 큽니다. <br /> <br />물가 전망을 말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도 매달 최저 기록을 경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지속적인 물가 하락을 말하는 디플레이션 우려는 한층 더 커지는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와 한국은행은 연일 일시적인 현상일 뿐이라며, 디플레이션 우려를 차단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주열 / 한국은행 총재 (지난 8일) : 디플레이션 우려가 큰 것은 사실입니다만, 지난해 폭등했던 농축산물 가격의 기저효과와 정부의 복지 정책 강화 요인만 제거해서 보더라도 사실상 1%대 물가입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시장에서는 저물가에 대한 우려의 시선을 거두지 못하는 분위기가 강합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높은 물가와 비교한 기저효과와 공급 측면의 작용이 컸다는 정부의 설명과 달리, 경기 침체와 이에 따른 수요 부진이 물가 하락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조영무 /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: 세계적인 경기 부진으로 석유를 비롯한 국제 원자재 가격이 높지 않은 측면도 있지만, 전반적인 경기 부진으로 생산자가 물건 가격 상승을 제품에 반영하지 못한 결과로 해석됩니다.] <br /> <br />저물가는 결국 기업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1026053344756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